본문 바로가기

Network

(25)
실장비 네트워크 구축 isp#sh run Building configuration... Current configuration : 1583 bytes ! version 15.7 service timestamps debug datetime msec service timestamps log datetime msec no service password-encryption ! hostname isp ! boot-start-marker boot system flash0:/c2900-universalk9-mz.SPA.157-3.M2.bin boot-end-marker ! ! ! no aaa new-model ! ! ! ! ! ! ! ! ! ! ! ! no ip domain lookup ip cef no ipv6 cef multilink..
23. RIP EIGRP RIP 구성 R1~5(config)#router rip R1~5(config-router)#version 2 R1~5(config-router)#no auto-summary R1~5(config-router)#network 10.0.0.0 확인 C:\\>ping 10.1.2.10 Pinging 10.1.2.10 with 32 bytes of data: Request timed out. Reply from 10.1.2.10: bytes=32 time=1ms TTL=125 Reply from 10.1.2.10: bytes=32 time
22. 동적 경로 기본구성 각 라우터에 RIP 버전 2 동적경로 설정 R1~5(config)#router rip R1~5(config-router)#version 2 R1~5(config-router)#network 10.0.0.0 R1~5(config-router)#no auto-summary R1#sh ip route Gateway of last resort is not set 10.0.0.0/8 is variably subnetted, 12 subnets, 2 masks C 10.0.0.0/24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L 10.0.0.1/32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C 10.0.1.0/24 is directly connected, F..
21. 동적 경로 이론 라우팅 프로토콜은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EGPs EGP - exterior gateway protocols 외부게이트웨이 프로토콜 인터넷을 통한 여러 조직 간에 라우팅을 위해사용 현재 쓰이는 EGP는 오직 BGP 경계 라우팅 프로토콜 뿐이다. IGPs IGP - interior gateway protocols 내부게이트웨이 프로토콜 조직 내부의 라우팅에 사용 IGP에는 크게 두 개의 주요한 형태로 나뉜다.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과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이 있다.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거리 백터 프로토콜에서는 직접연결된 네트워크 목록 , 거리를 공유하지만 직접연결되지않은 이웃 너머의 상세 토폴로지 정보는 보유하지않는다. 결과적으로 네트워크 토폴로지 전체를 통보하진 않는다. RIP , EIGR..
20. 정적 경로 IP 주소를 라우터 인터페이스에 입력하면 자동으로 라우팅 표에 연결 경로로 입력이 되고 직졉연결된 인터페이스 사이의 트래픽을 라우팅하는게 가능하다. 하지만 라우터가 직접 연결되지않은 서브넷으로 트래픽을 보내는 경우 그 경로를 알아야한다. 직접 연결된 예시 직접 연결된 F0/0 , F1/0, F2/0 인터페이스사이에서는 자유롭게 트래픽 전송가능 직접 연결되지 않는 예시 R1 직접연결 R2 직접연결 F1/0 10.0.1.1/24 F1/0 10.1.0.2/24 F2/0 10.0.2.1/24 F0/0 10.0.0.2/24 F0/0 10.0.0.1/24 위처럼 직접 연결되지않은 곳으로 트래픽을 보내려면 R1,R2가 서로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적 경로를 잡아줘야한다. R1에는 10.1.0.0 255.255.2..
19. 라우터 로컬 경로 라우터에는 두 가지의 주요 기능이 있다. 네트워크로의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 것과 해당 네트워크로 실제 프로덕션 프래픽을 전송하는것이다. 라우팅표 경로들이 라우터의 라우팅표에 기록되어 트래픽을 전송할 떄 사용이 된다. 다양한 경로를 학습하지만 그 중 최적의 경로만을 라우팅 표에 기록한다. 표에는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 경로와 관리자가 정적으로 구성한 경로 및 라우팅 프로토콜을 통해 동적으로 구성된 경로가 포함된다. 로컬 경로 이와 같이 라우터에 IP설정을 하면 show ip route 를 통해 아래와 같이 라우팅표를 볼수있다. 라우터 인터페이스에 IP 주소를 설정하자마자 라우터는 직접 연결된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자동으로 트래픽의 경로를 설정한다. 인터페이스에 IP 주소를 구성하면 다른 종류의 경로 또한 라..
18. 장치 백업 Topology 팩토리 리셋 비밀번호를 잊었을때 백업 방법 현재구성 R1#sh run ! enable secret 5 $1$mERr$kUN91hkvOwhC8ySgJWF8q. ! hostname R1 ! ! interface GigabitEthernet0/0 ip address 10.10.10.1 255.255.255.0 duplex auto speed auto ! config-register 변경 -- 원래는 실제장비에서는 ctrl +break를 통해 rommon프롬프트로 들어간다. R1(config)#config-register 0x2120 //부팅시 rommon프롬프토로 시작한다. R1(config)#end R1# %SYS-5-CONFIG_I: Configured from console by cons..
17. Duplex, Speed Duplex Speed duplex 와 speed는 CISCO장치에서 기본 설정으로 자동으로 되어있다. 만약 서버와 스위치가 연결된 경우 스위치는 duplex와speed를 수동으로놓고 서버에는 자동으로 설정된경우 링크가 해제되거나 링크 성능이 크게 떨어진다. 항상 양쪽을 동일하게 설정해야된다. 설정 라우터와 스위치 연결 ###수동설정 R1(config)#interface f0/0 R1(config-if)#speed 100 R1(config-if)#duplex full SW1(config)#interface f0/2 SW1(config-if)#speed 100 SW1(config-if)#duplex full ### 확인 show interface 확인 부조화 위에서 설명했듯이 양쪽 설정이 다르면 부조화가 ..
16. ARP OSI 스택 흐름 전에 15. DNS에서부터 이어서 진행합니다. 3계층인 IP층에서 캡슐화가 되고 여기에는 출발지,목적지 IP주소가 포함된다. 그리곤 2계층인 데이터링크층의 헤더에 캡슐화된다. 여기에는 발신자 및 목적지의 MAC주소가 포함되는데 그 후 패킷은 물리적케이블로 전송이된다. 발신자는 패킷을 구성할때 3계층에서 IP주소 필요 2계층까지 내려오면 목적지의 MAC주소 필요 그럼으로 발신자는 목적지의 IP주소와 MAC주소를 모두 알아야한다. ARP 2계층에서는 MAC주소는 논리적 주소가 아님으로 직접 목적지의 MAC주소를 입력하거나 애플리케이션 내에 설정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 하다. 이 떄문에 자동으로 MAC주소를 자동으로 찾아낼 프로토콜이 바로 ARP이다. 좌측의 발신자가 우측의 수신자에게 트래픽을..
15. DNS OSI 스택 흐름 OSI스택에서 발신자가 패킷을 구성하면 7계층에서부터 캡슐화를하며 4계층 전송층에 도달한다. 패킷은 4계층에서 헤더로 캡슐화 되는데 여기에는 TCP인지 UDP인지의 여부와 포트번호가 포함된다. 그리고 이를 3계층의 헤더인 IP헤더로 캡슐화를 한다. FQDN 제 3계층에서 발신자는 출발지 및 목적지의 IP주소를 입력해야한다. 몇몇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실제 IP주소를 입력하겠지만 대부분 www.google.com 도메인 이름인 FQDN을 사용할 것이다. 라우터에서의 DNS 라우터에서 DNS 설정하기 위한 명령이 필요한 이유는 라우터 자체적으로 FQDN을 변환할수있도록하기위함이다. 라우터에서 DNS서버로 핑하고싶다면 DNS클라이언트로서 설정을 해야한다. 그러면 라우터에서 DNS 트래픽을 통과시..